본문으로 건너뛰기

모노레포를 위한 준비

소개

최근 Next.js, Flutter 등 많은 프레임워크에서 모노레포를 통한 코드 관리를 사용하고 많은 회사들에서도 모노레포를 이미 도입하거나 도입하기 위한 준비를 진행하고 있다. 최근 우리 회사에서도 중복 작업을 줄이고 코드를 더 잘 관리하기 위해 모노레포, 멀티 패키지 도입을 준비하고 있는데 이 과정에서 찾아본 내용과 왜 회사 코드관리에 도입하도록 결정하게 되었는지 정리한 내용이다.

개발자가 개발반 잘하면 회사는 망한다 - 우아한테크코스의 소프트 스킬 교육

소개

우아한형제들에서 소프트 스킬 교육을 담당하고 있는 발표자분들이 하드 스킬에 에 국한되지 않고 협업과 소통을 위한 소프트 스킬을 발전시켜왔는지 우아한테크코스를 통해 이끌어나간 내용들을 정리해서 발표해주었다. 개발자가 기술에만 집중한다면 오히려 회사가 망할 수 있다는 경고를 통해, 팀워크와 열린 마음가짐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여러 연구 결과를 통해 실제 협업의 질이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설명하였다. 또한 소프트 스킬을 발전시키는 방법에 대해 공유하며 어떻게 소프트 스킬을 개선해나갈 수 있었는지 설명하는 시간이었다.

FlutterInProduction 내용 정리

소개

2024년 12월 18일 유튜브 라이브로 진행된 #FlutterInProduction 내용을 정리하며 플러터 프레임워크의 현재 상황과 2025년 목표, 이 후 진행될 로드맵에 대해 정리한 내용이다.

Flutter과거, 현재, 그리고 미래 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하는 이 영상에서는 앱 개발 에 있어 효율성과 안정성 을 대폭 향상한 Flutter 프로젝트의 발전 과정을 볼 수 있습니다. Flutter 는 다양한 플랫폼에서의 디자인 과 개발을 손쉽게 하여, 많은 기업들이 최상의 사용자 경험 을 제공할 수 있도록 돕고 있습니다. 또한, 대중적으로 사용되는 Flutter SDK의 위젯 수 와 이를 통한 앱 생태계의 증가를 소개하여, Flutter 가 비즈니스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을 드러냅니다. Flutter 의 성공적인 성과 는 개발자들에게 흥미롭고 창의적인 앱을 제작할 수 있게 해주며, 이는 사용자의 경험 향상으로 이어집니다.

Flutter 권장 아키텍쳐, BLoC은 왜 안될까?

소개

최근(2024년 12월) Flutter 팀은 아키텍쳐 가이드를 게시하고 네이티브 Kotlin, Swift와 같은 다른 모바일 프레임워크에서 채택한 확립된 패턴을 따라 Flutter 앱의 레이어를 구성하는데 MVVM 접근 방식을 사용할 것을 제안했다. 이때 MVVM 접근 방식으로 사용한다면 기존에 많은 개발자들이 사용 중이던 BLoC의 접근 방식이 떠올릴 수 있다. 그렇다면 왜 Flutter에서는 BLoC의 사용을 권장하지 않고 다시 제안을 하였을까?

이 글은 Flutter’s recommended architecture: why not BLoC? - Eduardo Pires, Medium Blog의 글을 의역하며 내가 이해한 내용을 정리한 글이다.

애플리케이션을 백그라운드에서 동작시키기 위한 방법

소개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다보면 대용량 파일 업로드/다운로드 주기적인 데이터 fetch 작업 등 애플리케이션에서 백그라운드로 동작을 해줘야하는 상황들이 있다. 이러한 백그라운드 프로세스 작업들의 경우 어떤 식으로 실행할 수 있으며 어떻게 유지할 수 있는지 iOS/Android 각각의 환경에서 알아본 내용이다.

기술 블로그 내용 공유 스터디 두번째 주차 리뷰

소개

지난번 첫 스터디 이후 두분이 나가고 새롭게 백앤드 한 분, 풀스택 한 분이 참여하였다. 게임 개발, IoT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 중인 개발자분들을 만나 다양한 분야의 현황에 대해 들을 수 있었다.

이 글은 두번째 스터디 모임에서 공유한 주제들을 정리한 내용이다.

프론트앤드에서의 데코레이터 패턴 살펴보기

소개

백엔드 개발자들이라면 DecoratorAnnotation에 대해 익숙할 것이다. 하지만 프론트엔드 생태계에서는 지금껏 여러 이유로 인해 사용되지 않다가 최근에 들어서 도입을 하려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프론트엔드에서는 왜 이러한 메타프로그래밍 방식을 적용하지 못하였는지, 또 적용하기 위해서 앞으로 넘어야할 산들은 어떤 것들이 있는지 알아보자.

iOS 환경에서 온디바이스 AI모델 최적화하기

소개

현재 Yolo ML model을 활용하여 이미지에서 정보를 추출하고 이를 활용한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 이때 서버 부하를 최소화 하기 위해 가벼운 모델들의 경우 온디바이스 환경에서 동작하도록 작성해주었는데, 이 과정에서 스레드 메모리공간을 할당해주는 방법과 Flutter에서 methodChannelViewController를 통해 이를 어떻게 실행하는지 정리한 내용이다.